바닥코딩
리눅스 명령어 - 시스템 관리(1/2) 본문
관리명령어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눅스 관리 명령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관리 명령어는 서버 내 프로세스, 메모리, 파일시스템, 관리를 위한 명령어 입니다.
시스템 관리 명령어
crontab
정기적으로 지정한 시간에 실행하고 싶은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명령어 입니다. 윈도우의 스케줄러와 동일한 기능이라고 생각 할 수 있으며 스크립트 등록 또한 가능합니다
옵션
-l | 등록된 명령어 리스트 확인 |
-e | 등록된 명령어를 수정 |
크론탭 주기 설정
크론텝을 등록할 경우 실행하고자 하는 주기와 명령을 입력합니다. 주기는 분 시 일 월 요일 형태로입력합니다.
분 | 0 ~ 59 |
시 | 0 ~ 23 |
일 | 1 ~ 31 |
월 | 1 ~ 12 |
요일 | 0 ~ 7(0, 7이 일요일) |
ex) 매일 매 시각 50분에 sample.sh 를 실행한다고 했을 때
50 * * * * /[sample.sh의 경로] /sample.sh
ex) 매일 5분마다 sample.sh 를 실행한다고 했을 때
*/5 * * * * /[sample.sh의 경로] /sample.sh
ex) 매일 1시와 3시에 sample.sh 를 실행한다고 했을 때
0 1,3 * * * /[sample.sh의 경로] /sample.sh
exec
주어진 명령어를 실행하며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지 않고 쉘 스크립트를 대체합니다.
옵션
-c | 환경 변수가 없는 상태로 실행 |
-a [name] | 0번째 인수로 이름을 전달 |
-l | 0번째 인수로 대쉬를 전달 |
free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옵션
-h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GB, MB, KB 형태로 변경하여 출력 |
-s [second] | 지정한 초(second) 마다 이용량 출력 |
예를들어 free -h 명령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각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름 | 내용 |
total | 전체 메모리 용량 |
used | 사용중인 메모리 용량 |
free | 유휴 메모리 용량 |
shared | 공유 메모리 용량. 프로세서, 스레드간 통신을 위해 사용. |
buffers | 버퍼 메모리 용량. 파일 저장을 위한 임시 저장 공간 등. |
cached | 캐쉬 메모리 용량.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캐슁하여 IO 속도 증가 |
top
운영체제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도구 입니다.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가장 빠르게 파악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3초마다 화면을 갱신하여 정보를 보여줍니다.
옵션
-b | 순간의 정보를 캐치 |
-n [횟수] | 지정한 횟수 만큼만 갱신을 실행 |
-p [pid] | 지정한 pid만 표시 |
jobs
현재 계정에세 실행중인 작업을 화면에 표시합니다.
옵션
-l | 프로세스 ID를 표시합니다. |
kill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kill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종료 시그널을 전송하여 프로세를 종료합니다. 하지만 종료가 되지 않을 경우 -9 옵션을 통해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nohup
리눅스에서 프로그램을 실행 할 때 세션이 끊어지면 프로그램도 함께 종료됩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실행 할 경우 nohup을 통해 세션이 종료되도 프로그램은 계속 실행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nohup은 오랜 시간이 요구되어 세션의 연결 상태나 다른 프로세스와의 병행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이기 때문에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포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의 대해서는 아래 포스트를 참고
https://dkkim2318.tistory.com/128
ex ) sample.sh 파일을 실행
nohup sample.sh &
ex ) sample.sh 파일을 실행하며 지금 디렉토리에 표준 출력을 저장
nohup sample.sh > ./sample.out &
'네트워크 & 리눅스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파일 시스템 (0) | 2024.04.01 |
---|---|
리눅스 명령어 - 시스템 관리(2/2) (0) | 2024.03.28 |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 (0) | 2023.09.24 |
리눅스 프로세스 (0) | 2023.07.19 |
SSH와 원격접속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