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코딩

이미지 레지스트리 본문

방법론과 DevOps/Docker

이미지 레지스트리

개발공부개발공부 2025. 4. 24. 16:45

이미지 레지스트리

 이미지 레지스트리는 도커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소 입니다. 개발자라면 깃허브나 메이븐 레파지토리 와 같은 사이트를 사용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깃허브나 메이븐 레파지토리와 같은 공간을 통해 우리는 소스 코드를 공유할 수 있고 필요한 기능들을 쉽게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도커 컨터에너 이미지 또한  이와 같이  저장소를 통해 서로 이미지를 공규마고,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미지 레지스트리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미지 레지스트리의 기능

이미지 레지스트리는 위와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 이미지 공유 :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 업로드/다운로드 기능 제공
  • 이미지 검색 : 이미지 검색 기능 제공
  • 이미지 버전 관리 : 버전 관리를 통해 특정 버전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다운 기능 제공
  • 보안 : 이미지 다운로드의 안정성 보장
  • 파이프라인 :  DevOps 파이프라인 연계  ex) CI/CD  이미지 업로드 시 자동 배포 파이프라인 구축

 

이미지 레지스트리의 종류 

 이미지 레지스트리는 이미지 공유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만약 사내 중요 내용이 담겨 있거나 외부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이미지 레스트리를 특정 조직에 제한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지 레지스트리는 모두에게 공유를 목적으로 한 퍼블릭 레지트리와  특정 사용자만을 목적으로한 프라이빗 레지스트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퍼블릭 레지스트리 :  모든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이미지 레지스트리  ex) docker hub
  • 프라이빗 레지스트리  : 특정 사용자/통신망 에서의 접근을 목적으로 한 레지스트리이며 직접설치 하거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해 구성

 

Docker Hub

도커허브는 이미지 레지스트리 중  퍼블릭 레지스트리에 해당하는 도커의 대표적인 저장소 입니다 이전의 포스트중  

https://dkkim2318.tistory.com/141

 

Docker를 통한 web server 구축

이번 포스트 에서는 Docker를 통해 간단한 웹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 실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ocker 컨테이터 실행 과정 도커를 통해 도커 이미지로 빌드된 파일을 가져

dkkim2318.tistory.com

 

docker run -p 80:80 --name hellonginx nginx

해당 포스트에서 우리는 위와 같은 명령어 한줄로  간단한 nginx 웹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바로 ningx 도커 이미지가 도커 허브에 공유 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도커 허브와 같은 레지스트리가 있다면 사용자는 명령어를 통해 이미지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방법론과 DevOps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0) 2025.04.17
Docker를 통한 nginx web server 구축  (0) 2025.04.17
Docker 아키텍처  (0) 2025.04.15
Docker  (0)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