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론과 DevOps/Docker

Docker를 통한 nginx web server 구축

개발공부개발공부 2025. 4. 17. 16:08

이번 포스트 에서는 Docker를 통해 간단한 웹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 실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ocker 컨테이터 실행 과정 

  도커를 통해 도커 이미지로 빌드된  파일을 가져와  다른 host os 위에 해당  이미지를 기준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docker hub에 올라간 nginx에서 빌드한 웹서버 이미지를 내 컴퓨터에 설치된 도커의 컨테이너로 띄우는 과정에 대하 다루어 보겠습니다.

1. nginx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

docker run -p 80:80 --name hellonginx nginx

해당 명령어를 터미널에 실행 시켜 줍니다(도커는 설치된 상태에서 진행) 

해당명령어를 실행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nginx의 설치와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띄워진 상태 입니다.

2. nginx 컨테이너 접속

브라우저 url에 localhost 입력 후 접속 해줍니다

위와 같은 화면의 nginx 웹서버로 접속이 되었다면 정상적으로 컨테이너가 띄워진 상태 입니다

3.docker desktop 확인

docker desktop에 접속하면 위와 같이 방금 설치한 nginx의 컨테이터의 상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같단한 과정으로 도커를 통해 간단히  웹서버를 내 host OS에 띄우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이처럼 도커는 도커 이미지 파일이 있고 도커가 설치된 환경이라면 어디에서든  쉽고 빠르게 실행환경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방금한 과정을 구성도를 통해 살펴보자면 docker run 명령어를 통해 도커 이미지 파일을 가져와 API를 통해 실행환경에 맞게  도커 데몬에 전달 합니다. 그리고 이 도커 데몬은 요청을 분석 후 컨테이너런타임을 통해 컨테이를 생성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