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코딩
Github 리포지토리 생성 및 로컬 저장공간과 연결 본문
이번에 포스팅을 할 내용은 깃허브를 실제 연동해 보고 코드의 변경사항 발생시를 이를 원격 저장소에 올리고 받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리포지토리 생성하기
2. 생성한 리포지 토리와 로컬 디렉터리 연결
리포지토리를 생성한 후 해당 리퍼지토리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위 화면은 현재 아무정보도 들어와 있지 않기 때문에 초기 설정에 대한 마크다운 만이 기록 되어 있습니다.
리포지토리를 생성하게 되면 리포지토리의 해당 주소가 상단에 표시가 되는데 옆에 copy 버튼을 통해 copy가 가능합니다.
3. git 초기 설정
git을 사용할떄 전초적으로 설정이 필요한데
git config --global user.name'[해당 유저 네임 입력]'
git config --global user.email'[유저 이메일 입력]'
위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유저 이름이나 메일등을 설정할수 있으며 git config --list를 통해 config 항목을 한눈에 조회라는 것도 가능합니다. 해당 포스트 에서는 git bash 를 통해 위에 과정을 수행하였습니다.
4.로컬 디렉토리와 연결
이번 포스팅에서 올리 디렉토리내부 내용입니다. 먼저 해당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등록을 하기 위해선 해당 디렉토리의 경로 이동하거나 해당 폴더에서 직접 git bash를 실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git bash를 통해 진행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d [디렉토리]
해당 경로로 이동 했다면 init을 통해 초기화 및 해당 로컬 디렉토리를 원격저장소에 연결한 준비를 마치게 됩니다. 위와 같이 git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면 로컬 디렉토리에 파일들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5. 스테이징 및 커밋
스테이징이란 코드의 변경이 있거나 삭제가 되었거나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었을 경우 원격 저장소에 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원격저장소 입장에서는 현재 아무파일이 없는 상황에서 로컬 디렉토리와 연결을 통해 새로운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이기 떄문에 git add . 를통해 모든 파일들을 스테이징 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그 이후 git commit 명령을 수행하면 스테이징 처리가 되어 있는 모든 파일들이 커밋 상태로 넘어간다
6. 원격 저장소에 push 하기
일반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여러 branch가 있을 수도 있지만 해당 포스팅 내용의 리포지토리에는 master 브렌치만 존재하기 떄문에
copy 버튼을 클릭해 해당 주소를 복사한 후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주소]
를 입력해 원격저장소와의 연결을 한다 그 이후 git push origin master 를 통해 현재 커밋되었는 파일들을 원격저장소에 push 하면
commit 횟수가 한번 올라가는 것과 동시에 commit message를 통해 upload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법론과 DevOps > Git 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잔디심기 (0) | 2021.03.15 |
---|---|
github 연동 및 버전관리 하기 (1) | 2020.01.30 |
Github 사용 전 알아둬야할 지식과 기초 흐름 (0) | 2020.01.30 |
GIT 이란 무엇인가 (0) | 2020.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