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론과 DevOps/Docker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Docker를 통한 nginx web server 구축 이번 포스트 에서는 Docker를 통해 간단한 웹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 실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ocker 컨테이터 실행 과정 도커를 통해 도커 이미지로 빌드된 파일을 가져와 다른 host os 위에 해당 이미지를 기준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docker hub에 올라간 nginx에서 빌드한 웹서버 이미지를 내 컴퓨터에 설치된 도커의 컨테이너로 띄우는 과정에 대하 다루어 보겠습니다.1. nginx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docker run -p 80:80 --name hellonginx nginx해당 명령어를 터미널에 실행 시켜 줍니다(도커는 설치된 상태에서 진행) 해당명령어를 실행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nginx의 설치와 컨테.. Docker 아키텍처 도커는 컨테이터 가상화를 위한 도구 입니다. 도커와 같은 도구를 컨테이너 플랫폼이라 합니다. 컨테이너 플랫폼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 엔진과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컨테이너 엔진 :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컨테이너를 관리해주는 역할컨테이너 런타임 : 직접 커널과 통신하여 실제로 격리된 공간을 만드는 역할 Docker 아키텍처 도커는 클라이언트와 - 서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며 이 요청을 처리해주는 도커 데몬으로 전달합니다. 도커 데몬은 이러한 기능을 처리 하기 위해 API를 제공합니다. 어떤 컨테이너가 현재 실행되고 있는지, 마지막으로 실행한 컨테이너의 정보를 조회한다던지 이러한 기능들을 API로 제공하며 이를 이해 CLI를.. Docker 와 가상화 Docker 개발을 진행하며 같은 장소, 같은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면 최적의 환경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막상 개발 프로젝트에서 본인의 개발환경이 바뀌는 상황, 내가 만든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환경에서 테스트 해봐야할 상황 등등 ... 예기치 못한 상황들이 발생하여 곤란을 격는 상황은 비일비재 합니다. 도커는 이런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등장한 툴입니다. 도커를 사용하면 OS 화경이 바뀌거나 참조하는 라이브러리 설치여부, 버전 등과 상관없이 런타임 구성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도커는 어떤 원리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상화 도커는 컨테이너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일종의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그렇다면 먼저 가상화와 컨테이너가 무엇인지 알아볼 필요가..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