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방법론과 DevOps (23)
바닥코딩

서버와 소프트웨어 서버에서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을 실행하기 위해선 세가지 요소가 필요합니다. 먼저 OS,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언어, 소스, 라이브러리, 설정 파일 등등 ...) 그리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실행파일 이 세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서버에서 프로그램을 동작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결국 프로그램을 배포한다는 의미는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개발해 이를 운영환경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물리적 서버에 OS를 설치해야 하며 프로그램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서버에 세팅하고, 실행파일을 통해 실행시키는 과정을 동반합니다. 이미지이미지란 앞서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기 위해 필요한 3가지 요소를 패키징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전 포스트에서 우리는 nginx 웹서버를 docker 명..

이번 포스트 에서는 Docker를 통해 간단한 웹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 실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ocker 컨테이터 실행 과정 도커를 통해 도커 이미지로 빌드된 파일을 가져와 다른 host os 위에 해당 이미지를 기준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docker hub에 올라간 nginx에서 빌드한 웹서버 이미지를 내 컴퓨터에 설치된 도커의 컨테이너로 띄우는 과정에 대하 다루어 보겠습니다.1. nginx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docker run -p 80:80 --name hellonginx nginx해당 명령어를 터미널에 실행 시켜 줍니다(도커는 설치된 상태에서 진행) 해당명령어를 실행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nginx의 설치와 컨테..

도커는 컨테이터 가상화를 위한 도구 입니다. 도커와 같은 도구를 컨테이너 플랫폼이라 합니다. 컨테이너 플랫폼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 엔진과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컨테이너 엔진 :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컨테이너를 관리해주는 역할컨테이너 런타임 : 직접 커널과 통신하여 실제로 격리된 공간을 만드는 역할 Docker 아키텍처 도커는 클라이언트와 - 서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며 이 요청을 처리해주는 도커 데몬으로 전달합니다. 도커 데몬은 이러한 기능을 처리 하기 위해 API를 제공합니다. 어떤 컨테이너가 현재 실행되고 있는지, 마지막으로 실행한 컨테이너의 정보를 조회한다던지 이러한 기능들을 API로 제공하며 이를 이해 CLI를..

Docker 개발을 진행하며 같은 장소, 같은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면 최적의 환경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막상 개발 프로젝트에서 본인의 개발환경이 바뀌는 상황, 내가 만든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환경에서 테스트 해봐야할 상황 등등 ... 예기치 못한 상황들이 발생하여 곤란을 격는 상황은 비일비재 합니다. 도커는 이런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등장한 툴입니다. 도커를 사용하면 OS 화경이 바뀌거나 참조하는 라이브러리 설치여부, 버전 등과 상관없이 런타임 구성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도커는 어떤 원리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상화 도커는 컨테이너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일종의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그렇다면 먼저 가상화와 컨테이너가 무엇인지 알아볼 필요가..

CloudWatch AWS에는 많은 이전 포스팅들에서 다루었던 서비스들을 포함해 정말 많은 서비스들이 존재합니다. 이런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웹 서버를 관리할 때 이런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우리는 공간은 얼마나 필요한지, 에러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서비스의 상태는 어떤지? 여러 관점들을 고려해야합니다. cloudWatch 는 이러한 시스템 전체의 성능 및 리소스 활용 최적화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CloudWatch의 특징 AWS 리소스 사용의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지원 다양한 이벤트들을 수집하여 로그파일로 저장 이벤트 & 알람 설정을 통해 SNS, AWS Lambda로 전송 가능 EC2, RDS, S3, ELB 등등 을 사용가능 CloudWatch Alarm Clou..

S3(Simple Storage Service) 웹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선 네트워크, OS, 데이테베이스 등등도 필요하지만, 소스코드와, 이미지 , 동영상 파일 , 도큐먼트 파일, css, html , 텍스트파일 등등 여러 파일들이 저장될 공간인 스토리지 또한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AWS에서는 이 스토리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이것이 바로 S3입니다. S3는 AWS에서 처음으로 런칭한 서비스 입니다 그만큼 역사도 길고,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발전해 온 서비스 이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효울적인 스토리지 활용을 지원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3에 대한 특징과 요소, 고려해야할 점 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S3의 특징 안전하고 가변적인 Object 저장공간을 제공 편리한 UI ..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데이터베이스를 종류중 아마 모두에게 가장 친숙한 형태는 RDB(Relation DataBase) 일 것입니다. 그리고 이 RDB를 관리 해주는 시스템인 오라클, mySql, maria, postgreSql 등등은 개발환경에서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AWS RDS는 유저가 사용하기 쉽도록 인프라를 자동화 시켜주고 백업 기능 등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RDB 서비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RDS - DB Backups RDS는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해주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종류로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Automated Backups(자동 백업) DB Snapshots(데이터 베이스 스냅샷) Automated Backups..

이전 EC2, EBS, ELB 관련 포스팅에서 EC2에 대해 다룬적이 있었습니다. https://dkkim2318.tistory.com/106 EC2, EBS, ELB EC2(Elastic Compute Cloud) 개발단계 혹은 개발 완료 후 서비스를 하기위해 프로젝트와 스토리지의 사용량을 미리 생각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새로운 기술과 방대한 정보가 계속되서 등 dkkim2318.tistory.com 위 포스팅 내용과 같이 EC2를 통해 가상의 컴퓨팅 환경인 인스턴스를 와 스토리지, 키페어 등등을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실습을 통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putty 먼저 ssh 접속과 키페어를 생성하기 위해 putty가 필요합니다. pu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