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30)
바닥코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LL0/btqYusSAbfW/zEybjUwB2ZklYzKEDklPJ0/img.png)
PL/SQL의 궁극적인 목표는 SQL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SQL을 실행시키는 기능이 가장 중요합니다. 결국 SQL을 보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기 떄문에 PL/SQL에 내 SQL 처리 기능을 매우 강력하고, 기본 SQL을 수행할 수 있어야 올바른 활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SQL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SELECT, INSERT , UPDATE, DELETE 문 등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SELECT create or replace procedure fn_SalRate is v_ename emp.ENAME%type; - --EMP 테이블의 타입 복사 v_empno emp.EMPNO%type; v_rate number := 1.1; v_sal number; begin v_empno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miRd/btqYoZw9qLO/ynpXMhhkA9dWoYXLXPgbp1/img.jpg)
어떤 언어든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해보셨다면 변수, 상수에 대한 내용을 알고 있을겁니다.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계산에 사용될 값을 ~~~ 이런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변수와 상수는 PL/SQL에서 어떻게 선언하는지 또 리터럴은 무엇인지에 대해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변수 DECLARE v_num number; --변수 선언 begin v_num := 10; -- 변수에 값 넣기 end; 변수는 위와 같이 선언 되고 사용되어집니다. 여기서 주의 해야할점은 = 이 아니라 := 로 작성을 해주어야 10이 대입디 된다는 점입니다 PL/SQL에서 = 대입이 아니라 동등 연산을 의미합니다 상수 DECLARE c_pi CONSTANT NUMBER := 3.14; BEGIN DBMS_OUTPUT.PUT_LI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9aIQv/btqYAuhxMDd/eb73RWcBAFzz9OxTvn0vk0/img.jpg)
앵커(%)를 사용한 데이터타입 지정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는 방법중에서 특이하면서도 유용한 방식이 있는데 변수나 컬럼, 테이블 , 커서 등 기존 선언을 참고하여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앵커라고 부르며(오라클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는 아니라고 합니다.) 앵커를 활용하면 선언문이 간결해지는 것과 차후에 참조되는 타입이 변경되더라고 참조하는 쪽은 수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TYPE DECLARE v_ename emp.ename%TYPE; -- 특정 컬럼의 타입이랑 동일하게 생성 v_ename2 v_ename%TYPE; -- 특정 변수의 타입이랑 동일하게 생성 %TYPE BEGIN SELECT ename INTO v_ename FROM EMP WHERE ROW..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2Wnn/btqYrGjCVkJ/Y94dLkFsyrKuvll7ieFkS1/img.jpg)
PL/SQL 기본 구조 PL/SQL은 이전 포스트에 특징에서 다루었듯 블록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DECLARE v_str VARCHAR2(100); -- 선언부 BEGIN -- 시작 v_str := 'Hello world'; DBMS_OUTPUT.PUT_LINE(v_str); EXCEPTION WHEN OTHERS THEN -- 예외처리 DBMS_OUTPUT.PUT(SQLERRM); END; -- end 선언부 : DECLARE 와 BEGIN 사이에 위치하며 타입, 상수 , 변수 , 예외 , 커서 서브프로그램들이 오는 구역 BEGIN ~ END : 실행부에 해당하며 실제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문장이 놓입니다 실행부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필수 영 역이며 END 는 ; 으로 끝나야 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ZbNZ/btqYAtQiwaH/vh4paUU1WuvhggXyaaqasK/img.jpg)
PL/SQL? sql을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다들 아시는 상식이 있을 겁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RDBMS) 에서 사용하는 표 준 언어인 SQL 은 절차형 언어가 아닙니다 SQL의 DDL/DML/DCL 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정의 조작 제어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SQL은 결국 데이터의 처리 집합 만을 기술할 뿐 어떠한 절차를 걸쳐서 데이터 집합을 얻어야 하는지에대한 절차적 과정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SQL 로직을 작성하면 이 문장의 실행순서는 옵티마이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 이는 여러가지 데이터베이스 통계를 기초로 실행 게획을 처리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일반적으로 빠르게 다루어 주지만 결국 개발자 입장에서는 융통성 있는 데이터 처리는 불가능 합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d9aMo/btqF0QEix96/waRuvtN6wsC7fZsGQjDnR1/img.png)
scope 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c/c++ ,java를 포함한 어떤 언어라도 공부해 보신분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내용이 있습니다 바로 전역변수/ 지역변수에 대한 내용인데요 java로 지역변수와 전역변수에 대한 내용을 잠깐 다뤄 보자면 class Ex_variables{ int global_v; void addmethod(int a, int b) { global_v = a + b; } } 큰 설명없이도 global_v 라는 전역변수 개념과 addmethod 라는 매소드 안에서 쓰이는 a, b에 대한 지역 변수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는 다들 알고 있을 것입니다. 또한 static 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해당 소스 내에서 어디든 사용할 수 있는 전역변수 설정 또한 가능합니다.. 그런데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jsxH0/btqFzHnzGYF/2JVbkqxrhks40puJhCqkD1/img.png)
JS의 변수 선언 방식 먼저 블로그 바닐라 js 포스팅에서는 별도의 문법(일반적인 조건문 , 반목문, 객체 예외처리 ... 등등) 에 대한 내용은 다루지 않을 것입니다. js 의 문법체계는 다른 언어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물론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 이긴 하지만요) 하지만 다른 언어와 차별이 되는 독작적인 특성들과 같은 경우에는 특정 언어를 사용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떄문에 이와 같은 내용들에 대해선 내용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익숙한 언어들과 같은경우 변수를 선언하는데 있어 자료형으로 변수의 특성을 구분해 줍니다 예를 들어 정수형은 int , 문자열은 String 이런식으로 말이죠 그렇지만 JS와 같은 경우 변수를 선언하는데 있어 비교적 익숙하지 않은 자료형을 선언합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HFwKh/btqEGS9Pao9/dmezWBH6yoAEykXvMSmJ70/img.png)
바닐라 JS ? 이전 포스팅 내용중에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포스팅을 작성한 적이 있었습니다 https://dkkim2318.tistory.com/64?category=819644 자바 스크립트 자바 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브라우저 내에서 동작하는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웹 개발자들에게는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언어기 때문에 완벽하게는 아니여도 필� dkkim2318.tistory.com 자바스크립트는 포스팅한 내용과 같이 프론트 사이드에서 절대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이면서 동시에 서버사이드 개발이 가능한 언어 입니다. 특히 프론트 영역에서의 사용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한 프레임워크들이 현재 대세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개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나 개발자라면 모두들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