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론과 DevOps (32) 썸네일형 리스트형 폭포수 vs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 또는 구조를 일컷는 말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의 과정에 대해 생각해보면 어떤 소프트웨어를 만들지 ? , 결정은 했는데 어떤 언어로 개발하지? 업무 분담은 어떻게 해야하지? 다 만들었으니 테스트 해봐야지 ... 등등 여러 과정을 거쳐 개발을 진행할 것 입니다. 사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어떠한 정답은 없습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주체가 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곧 프로세스이고 모든 소프트웨어는 과정을 거쳐 완성이 되게 됩니다. 그렇지만 매번 개발을 진행할때마다 즉흥적인 개발을 하는 것은 모험에 가깝습니다. 특히, 자본과 직결된 회사에서는 더더욱 해당되는 이야기일 것이고요... 이에..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의 종류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이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으로서 소프트웨어 개발과정, 절차, 방법, 산출물, 기법 도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표준화시킨 것을 의미합니다. 산업화가 진행되고 IT 산업이 육성이 활발하게 진행이 되면서, 소프트웨어 개발의 역사는 어느덧 1960년대를 시작으로해 현재 2020년대까지 현재진행형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어떤 방법론이 유행을 했는지 그 배경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에는 학문적으로 깊이 파고들어야할 주제이기 때문에 해당 포스트 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종류를 알아보고 다음 포스트 부터는 현재 많은 기업들에서 채택하고 있는 개발모형인 폭포수와 애자일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의 종류 개발 방법론의 종류는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소프트웨어 방법론? 소프트웨어 방법론이란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데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개발 과정들을 정리하고 표준화하여 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래밍 개발과정에서 각개인이 개발과정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고 프로그래머들간의 효과적인 협업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법론을 의미합니다. 방법론이라는 것은 결국 IT개발 회사, 혹은 회사가 아니더라도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소프트웨어 방법론이 필요한 이유 일단 소프트웨어 방법론은 어떠한 절대적인 개념은 아닙니다. 대표적인 방법론들이 있지만(구조적 방법론, CBD방법론, Agile 등등) 수 많은 소프트에어 실제 개발 과정에 대한 각각의 맞는 개발 방법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집단은 분석을 통해 상황에 맞는 .. git 잔디심기 GIT에서는 commit을 하면 초록색으로 그 날 커밋에 대한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일명 '잔디 심기'라고 불리는 git의 특성인데 git에서 중요한 기능은 아니지만 개발 or 공부를 하게 되면서 심어지는 잔디를 보며 나름의 뿌듯함을 느끼는 요소가 개발욕구를 끌어올리는 것 같습니다. 구글에만 1일 1커밋을 검색해 보면 여러 개발자들이 하루에 최소 하나 이상의 커밋을 진행하며 열심히 개발 공부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잔디가 뺴곡히 심어진 화면을 보면 저도 모르게 나도 열심히 해야 하겠다는 자극이 되고는 합니다. 이건 저의 잔디? 입니다. 작년 기준 10월 부터는 사업이 많이 바쁜지라 개인적인 공부를 하지 못했네요 ,, 이런걸 보면서 반성도 하게 되고 좀더 열심히 채워보겠다는 욕심도 .. github 연동 및 버전관리 하기 VSCode 와 GIT 연동 github는 대표적인 형상관리 및 버전관리를 수행하는 협업툴이기 떄문에 이클립스 , visualstudio 등 여러 컴파일러나 에디터 등에서 쉽게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떤 컴파일러나 에디터를 사용하던 원리는 같기때문에 특별히 vscode를 사용해서 연동을 해보았습니다 ( 꼭 vscode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https://evols-atirev.tistory.com/14 Visual Studio Code Git 연동하기 vscode에서 git과 github를 연동하는 방법이다. 먼저 vscode와 git을 설치해준다. http://evols-atirev.tistory.com/4 이걸 보고 vscode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https://git-.. Github 리포지토리 생성 및 로컬 저장공간과 연결 이번에 포스팅을 할 내용은 깃허브를 실제 연동해 보고 코드의 변경사항 발생시를 이를 원격 저장소에 올리고 받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리포지토리 생성하기 2. 생성한 리포지 토리와 로컬 디렉터리 연결 리포지토리를 생성한 후 해당 리퍼지토리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위 화면은 현재 아무정보도 들어와 있지 않기 때문에 초기 설정에 대한 마크다운 만이 기록 되어 있습니다. 리포지토리를 생성하게 되면 리포지토리의 해당 주소가 상단에 표시가 되는데 옆에 copy 버튼을 통해 copy가 가능합니다. 3. git 초기 설정 git을 사용할떄 전초적으로 설정이 필요한데 git config --global user.name'[해당 유저 네임 입력]' git config --global use.. Github 사용 전 알아둬야할 지식과 기초 흐름 Github 깃허브는 git을 호스팅해주는 웹 서비스 입니다. git 저장소 서버를 대신 유지 및 관리해주는 서비스를 의미하는데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무료이고 pivate 프로젝트는 유료다 다른 유저들과 함께 온라인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기 떄문에 만은 사람들이 github를 통해 제작을 하고 있습니다 Github를 사용하기 전 알아두어야 할 사전 지식 ※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저장소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저장하하는 공간입니다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등을 저장소의 관리하의 두는 것으로 디렉토리에 잇는 파일 등의 변경 내용을 기록 할 수 있습니다. 저장소는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로컬 저장소와 서버 등 네트워크에 잇는 원격 저장소의 두개가 있는데 기본적으로 로컬 저장소에.. GIT 이란 무엇인가 GIT? 깃은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려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드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관리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소스 코드 관리에 주로 서용되지만 어떠한 집합의 파일의 변경사항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주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깃은 다른 대부분의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처럼 또는 대부분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과는 다르게 모든 노드의 모든 깃 디렉토리는 네트워크 접속이며 중앙 서버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완전한 이력 및 완전한 버전 추적 기능을 갖춘 성숙한 저장소입니다. 형상관리 & 버전관리 형상관리 : 소프트웨어는 한번 만들어졌다고 해서 그걸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환경의 변화나 기술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경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 이전 1 2 3 4 다음